요즘은 계산기가 발달해서 금리를 금방계산해 줍니다.
그런데 1년 정기적금 금리를 계산기에 넣으면 본인이 생각한것과 조금은 다른 수치가 보입니다.
의아스럽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하지만 그대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리를 알면 아주 단순한데..
일단 월 적립금으로 10만원씩 12개월을 넣는 1년 정기적금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이자율은 지금보다 아주 높은 5%로 계산합니다. 이유는 계산이 편해서 그런것이니 이런 상품 없냐고 묻지 말아주세요. 현재 상황에서 5% 금리를 제시한다면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하는 금융권입니다.
일단 이자는 단리와 복리가 있는데, 은행적금의 대부분은 단리로 계산됩니다. 복리로 계산되는 상품은 7년이 넘어가야 복리효과가 있으므로 제시 금리보다는 만기에 수익을 확인하시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10만원씩 12번을 불입하고 그 이자는 납입할때마다 다르게 계산됩니다.
첫회 10만원에 대해서는 5% 이자율이 모두 계산되지만, 2회차부터는 10만원이 11개월만 은행에 머무르게 되므로 그 이자율이 작아집니다. 금액은 확인하세요
금리에 따른 이자율표입니다. 확인하시기 편하시지요. 현재 3%도 고금리라고 은행에서 팔고 있는데, 답답하지요. 실질이자율을 따지면 적금에 대한 효용을 알수가 없으니 말이에요
여기서 또하나는 세후 수익률이 본인이 찾을수 있는 이자율이라는 것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이자에 대해서는 불노소득이라고 생각해서 국가에서는 이자소득세를 매깁니다. 14%에 지방세 10%를 추가하여 15.4%를 계산합니다.
그래서 재테크를 하실때 비과세저축이나 세제혜택이 있는 상품을 열심히 찾으러 다니시게 되는 것입니다.
2014년 새로운 한해가 밝았고 누구나 연말에는 통장에 원하는 잔고가 쌓이시길 바랍니다. 그에 맞게 조금은 공부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재테크 플랜을 세우셔야 합니다.
!! 열심히 돈을 모아서 무엇을 할 것인가? 돈을 모으는 이유는 쓰기 위한 것입니다. 쓰고 벌어서 갚는 구조가 아니라 열심히 벌어서 모아서 쓰는 구조를 만들어서 행복한 인생이 되는 것입니다. 인생의 재무목표는 살아가면서 점점 규모가 커지게 되어 있습니다. 부모님의 부의 규모는 달라도 24시간을 공평히 허락하셨다는 것은 얼마나 성실히 모을 수 있는지 생각하게 합니다.
'일취월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리츠화재 건강보험 - 나만의 청춘보험 1401 (0) | 2014.01.08 |
---|---|
치과보험 - 치주 질환 관리하기 (0) | 2014.01.07 |
삼성생명 실버암보험 동양생명 비교 (0) | 2013.12.20 |
솔로 재테크-돈이 모이지 않는다. 1억플랜 (0) | 2013.12.06 |
예금자 보호법과 예금보험공사 알아보기 (0) | 2013.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