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크랩

15차 보험약관 이해도 평가 공시 - 변액보험 약관은 무슨소리인지? 15차 보험약관 이해도 평가 공시 금융상품 중 보험은 쉽지 않은 상품군이다. 미래에 일어날 위험에 대해서 세세하게 약관에 적어서 고객과 약속을 하고 계약을 맺는다. 서로간의 자세한 내용을 들여다보지 않고 계약을 할때가 많다보니 종종 분쟁이 발생한다. 이 분쟁에서 중요한 것은 약관을 이해하게 했는가가 아니라 약관을 전달했는가? 이다. 약관 이해에 대해서는 고객이 확인해야 할 사항으로 두는 것이다. 보험약관은 일단 두꺼운 책에 글씨도 깨알이다. 두꺼운 책은 양호한 편이다. cd로 전달하는 곳도 있는데, 어찌하라는 것인지 난감할뿐이다. 이메일로 주는 곳도 있는데 이것도 참...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구현하는 상품은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렇게 어려운 약관, 나만 그러한줄 알았더니 아니란다. 전문가들도 .. 더보기
4월부터 변경되는 실손의료보험(단독실비보험,유병력 실손보험) 4월부터 변경되는 실손의료보험 우리나라 국민 3천만명이상이 가입하고 있는 실손보험이 4월에 다시 한번 변경되었다. 큰 축으로 2009년도 표준실비보험으로 변경되고 나서도 손질을 계속하고 있다. 가입 증가에 따라 보험금 청구가 늘고 손해율이 높아지면서 그에 대한 대응책이다. 이번에 변경되는 내용은 특약형 실손보험이 판매금지되고 유병력 실비보험이 나왔다는 것이다. 특약형 실비보험은 진단비와 수술비등과 함께 특약을 실비보험을 선택하여 종합 건강보험으로 가입하는 형태였다. 이러한 실비보험이 가입자에게 보험료 부담을 줄 수 있다는 판단으로 앞으로는 단독형 실손보험만 가입할 수 있도록 강제하게 되었다. 이러한 강제가 불필요한 특약까지 가입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소비자의 선택권을 막아버리는 측면도 .. 더보기
2017년 건강보험 심사 진료비 69조 6271억원 2017년 건강보험 진료비 70조원 육박 국민건강보험 가입자가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지급한 진료비가 지난해 7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증가폭이 가팔라 4년사이에 20조원 가까이 늘었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으로 인해서 증가하는 폭이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건강보험 재정에도 빨간불이 들어올 것 같습니다. 2016년 60조원을 넘어섰던 걱간보험 진료비가 2017년 작년에는 70조원을 육박했습니다. 2013년 50조원을 넘어선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다양한 원인이 있을수 있습니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노인인구의 의료서비스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전체 진료비의 40%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더보기
<2017년 중 지급결제동향> 한국은행, 체크카드 사용액 증가 한국은행 현재 주머니에 있는 현금은 얼마나 되나요? 이제는 일상적으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사용해서 결재하고 있습니다. IMF이후 신용카드 장려정책이 뿌리 내려 담배를 사면서도 신용카드 결재가 자연스러워진것 같습니다. 이러한 영향에 힘입어 결재금액은 날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체크카드의 사용실적은 그 전년도에 비해 10% 정도가 늘었다고 하네요. 체크카드 이용실적 추이를 보면 2014년 3120억원, 2015년 3680억원, 2016년 4240억원이었다. 카드 이용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9%로 지난해 처음으로 20%를 넘어선 이후 확대 추세에 있다. 체크카드 사용이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신용카드 사용에서 얻어지는 효용 중에 대부분을 얻을 수 있고 단지 통장에 있는 현금이 언제 인출되는지.. 더보기
고령 범죄 현황과 특징(보험연구원) 고령자 범죄 현황과 특징 우리나라 인구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고령 범죄도 늘고 있는 상황이다. 폭행이나 상해를 가해서 검거되는 노인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교정 시설 수용자 숫자도 급격히 늘고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노인범죄 비중이 느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고령자 범죄의 비중은 노인인구 증가를 추워하고 있고, 범죄의 유형이 흉포화 한다는 것이 문제다. 법무부는 범법 행위로 전국 교정ㆍ수용 시설에 갇혀 있는 만 65세 이상의 수용자는 2016년 2,438명으로 10년 전인 2007년(782명)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전체 수용자는 2007년 4만5647명에서 2016년 5만7669명으로 26.3% 증가했다. 그중 만 65세 이상 수용자 비중은 이를 8배 가량 웃돌았다. 이 중 형이.. 더보기